티스토리 뷰

제7장 사회통합, 사회네트워크, 사회적 지지와 건강



1. 이론적 동향
 

1) 에밀 뒤르켐 : 사회통합, 소외, 그리고 아노미
  • 사회통합과 응집력이 어떻게 사망률에 영향을 주는지 
  • <자살론>
    • 건강에서 사회통합의 역할을 이해할 수 있는 틀을 제시
    • 개인들이 두 가지 형태의 통합에 의해 사회에 묶여있음
      • 애착(attachment) : 개인이 사회구성원들과 유대를 유지하는 정도
      • 규제(regulation) : 가치,신념,규범에 의해 개인이 사회구조에 수용된 정도
    • 자살이 사회적으로 유형화된다는 증거 -> 자살의 기저원인이 대부분 집단의 사회통합 수준과 관계있다는 이론 제시 
      • 이기적 자살, 아노미적 자살 -> 사회 통합능력이 침삭당함으로써 촉발
      • 아노미적 자살 : 급속한 사회변화나 동요의 시기에 발생하는 경제적/정치적 성격의 대규모 사회적 위기와 관계
2) 존 볼비 : 애착이론(attatchment theory)의 고안자
  • 성인기의 친교능력은 선천적인 것이 아니라 애착.상실.재애착 등의 복잡하고 역동적인 힘의 결과물
3) 사회네트워크 이론 : 사회구조와 공동체를 보는 새로운 방법
  • 전통적인 친족관계, 주거 혹은 계급집단을 넘어서는 유대를 분석하기 위해 이러한 개념을 발전시킴 
  • 사회제도의 구조적 배열에 의해 개인이 활용할 수 있는 자원이 결정되고, 그 사람의 행동과 감정적 반응까지 결정된다는 관점


2. 사회네트워크와 건강을 연결하는 개념적 모형 

1) 개관

2) 사회네트워크의 평가

3) 구체적인 사회적/행동적 경로
  • 사회네트워크의 구조가 질병유형에 영향을 주는 5가지 기전
    • 사회적 지지
    • 사회적 영향의 힘
    • 사회참여와 참가의 수준
    • 전염병환자와의 접촉 조절
    • 물질적 재화와 자원에의 접근

     => 앞의 5가지 행동기전은 생물학적/심리적 경로를 통해 다른 구체적 요인들에 영향을 준다.
  • 사회적 지지 : 네트워크의 유대구조가 다양한 지지의 제공을 통해 건강에 영향을 준다
    • 유형
      • 정서적 지지
      • 도구적 지지, 평가적 지지, 정보적 지지 -> 자원과 물질적 재화에의 접근성을 높인다는 점에서 건강에 영향 (ex- 약한 유대) 
    • 지지의 인지적 측면과 행동적 측면을 구분할 것 
  • 사회적 영향 (social influence) 
    •  "사회네트워크에서 두 행위자의 근접성은 이들 사이에 발생하는 대인간 영향과 관계 있다" (Marsden) 
    • "자신의 태도가 비교(준거)집단과 같을 때에는 이것이 확고해지고 강화되지만 차이가 있는 경우 변화한다"(Marsden & Friedkin, 1994)
      • 건강행동의 공유된 경험은 네트워크 구성원들의 직접적인 행동 변화를 야기하는 강력한 원천이 될 수 있음 
  • 사회참여
    • 높은 수준의 안녕을 가져다주는 일관성과 정체감에 기여함으로써 건강에 간접적인 영향
    • 생리적 체계의 활성화를 통해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도.
  •  대인접촉
    • 네트워크는 전염병 확산의 매개로 작용하면서 건강을 해칠수도 있다.
    • 사회네트워크 분석이 질병전파모형에 기여한 것
      • 질병이 전 인구집단을 통해 무작위로 확산되지는 않음
      • 지리적 위치, 사회인구학적 특징, 혹은 개인의 여러 특성에 기반한다.
      • 집단의 전염병 확산을 연구할 수 있는 이상적 방법 
        • HIV 전파에 대한 연구 : 무작위혼합보다 선택적 과정을 통해 확산됨 - '가교집단(bridging population)'의 존재와 규모 
  • 물질적 자원에의 접근 
4) 건강상태에 좀더 근접한 생물학적 심리적 경로
  • 건강행동
  • 심리적 기전
  • 생리적 경로
    • 가속되는 노화와 생애과정 관점
    • 성인기 사회적 경험과 생물학적 효과 : 지속성과 변화 


3. 사회통합, 사회네트워크, 사회적 지지의 평가★

 

     - 특정 목적에 적합한 다양한 척도 소개, 유용성을 간단히 언급 
     - 모든 목적에 꼭 맞거나 적절한 '단일척도'는 없다. 
     - <표7-1>

 


1) 사회적 유대와 통합의 척도
  • 그간의 지역사회기반 연구에서 몇가지 간단한 사회적 유대척도를 사용하여, 비교적 일관된 건강결과(특히, 사망률)를 예측할 수 있었다. 
    • 주로, 네트워크의 크기와 다양성, 사회참여/참가의 영역을 평가
    • 장점 : 실제 조사시 용이함, 광범위한 수준의 사회통합을 평가하는 정도, 입증된 예측 타당도
    • 단점 : 건강증진의 기전을 밝혀내기 어렵고, 사회적 관계의 깊이,질에 대한 정보가 제한적 
2) 사회네트워크 척도
  • 네트워크 구조에 대한 척도 : 사회적 지지의 여러 측면과 연결되고, 대인접촉의 유형과도 관련 (사회적 영향, 전염성질환의 전파와 관련) 
  • 네트워크의 복잡한 역동관계와 형태에 대한 풍부한 이해를 제공
  • 안토누치(Antonucci, 1986)의 호위척도 :  사회적 지지, 사회인구학적 특징과 관련한 네트워크 평가를 통해 개인에 대한 정보 수집 가능
  • Yale Health & Aging study를 바탕으로 개발된 척도(Seeman & Berkman, 1988): 개인을 확인하기 위한 별도의 질문없이 축약된 방식으로 네트워크와 지지의 중요한 차원들을 측정 

3) 사회적 지지 척도
  • 개발된 척도들 간의 차이 : 인지된 지지(perceived support) vs 수용된 지지(received support) -> 연구의 특성에 따라 연구자가 선택해야.
  • 장점 : 내적 타당도가 높다 (하나의 영역에 여러개의 항목들을 포함) 
  • 약점 : 매우 작은 규모의(흔히 대학생 나이의)  집단에서 개발된 것임 
  • ISSI(Interview schedule for social interaction) : 사회통합, 사회적 상호작용, 귀속 등 광범위한 차원을 포괄하는 척도 
    • 축약형  개발 (Unden & Orth-Gomer, 1984) 
4) 참고 
  • 사회관계의 부정적 측면에 관련된 것들을 언급되지 않았음
  • 비구조화된 평가는 검토되지 않았음 

4. 사회네트워크와 사망, 상병, 장애

     - 지난 약 20년간, 사회네트워크나 사회적 지지와 신체적/정신적 건강을 연결짓는 방대한 연구결과들이 축적되어왔음. 

1) 총사망률
  • 여러 나라에서 이루어진 13개의 대규모 전향적 코호트 연구 : 고립되거나 타인과 단절된 사람들일수록 조기에 사망할 위험이 높다는 결과를 보여줌 
  • Allameda County study (Berkman & Syme, 1979) : 사회적 고립과 연관된 RR의 증가는 하나의 사인에만 해당하는 것이 아님
    • 허혈성 심질환, 뇌혈관질환,암으로 인한 사망위험 증가
    • 호흡기질환, 소화기계 질환 등 다른 원인들과 이외 모든 사인에 의한 사망위험도 높았음. 
  • 사회네트워크는 질병의 발생이나 시작보다는 일반적으로 사망과 더 강하게 연관되어있음을 시사 
2) 심혈관질환
  • 사회네트워크나 지지와 심혈관질환의 발생의 연관성 : 일부 증거가 존재. 아직 controversial.
  • 사회적 유대가, 심근경색을 앓았거나 심각한 심혈관질환을 가진 사람들의 생존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들이 많이 보고됨

3) 뇌졸중
  • 발생률에서는 다소 설득력이 약하고 사망률에는 상당히 설득력이 있음. 
  • 사회네트워크와 지지가 뇌졸중에서의 회복에 중요하다는 증거들은 점차 힘을 얻고 있음.
  • 사회심리적 중재 : 

4) 전염성 질환
  • 사회적 혼합유형
    • 전염성질환은 선택적인 사회적 혼합유형을 매개로 전파됨 (Morris, 1996)
      • 접촉이 친밀하고 광범위할수록, 확산의 속도와 방향에 미치는 선택적 혼합의 영향은 더욱 커진다 
    • 인구집단 건강상태의 한 요인으로서 사회네트워크에 대한 관심은 사회적 혼합유형의 속성에 대한 것

     ① 사회네트워크와 HIV/AIDS
  • IDU(마약주사기 사용자)들의 사회네트워크에 대한 연구
    • 위험한 네트워크에 엮이면서 건강에 유해한 방식으로 살아가기 시작하고 다양한 경로를 통해 그 유형을 강화시킴 
    •  IDU 293명에 대한 연구 (Latkin,1995) 
      • 네트워크의 밀도, 마약을 사용하는 하부네트워크의 크기가 개인의 약물사용 빈도에 비례함을 발견
      • 어떤 유대는 고위험폭로에 대한 보호효과가 있음 
    • IDU에 대한 보건사업의 효과에 대한 문제제기 : 네트워크가 견고한 장벽으로 작용 -> 네트워크와 '함께'하는 보건사업의 필요성 제기 
  • 스웨덴의 HIV 감염 남성 추적조사 연구
    • 5년간 CD4 cell 감소 - "가용한 귀속성(availability of attachment)"의 수준이 낮으면 감소속도가 빠름 
      • 사회적 지지가 일차적인 면역 매개요인들을 조절할수 있음을 의미
  • 물리적 공간과 중첩되는 사회네트워크 구조는 유행의 확산을 가속화시킴 
    • 미시적 수준 : 고위험개인들이 집중된 하부네트워크 - 전염속도가 더욱 빠름
    • 거시적 수준 : 노동시장의 유형이 전염병 전파의 기회를 만들어내는 사회네트워크의 하부구조 형성 
     
     ② 사회적 지지와 감기
  • 감기에 대한 취약성은 사회네트워크의 다양성이 증가함에 따라 양-반응(dose-response)형태로 감소
    • 사회적 접촉이 전염성질환에 대한 전반적 저항력을 높인다는 연구결과들이 잘 제시되어있음
    • 최근에는  사회적 지지가 일차 면역체계요인들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증거들이 나오고있음 


  • 사회통합/사회참여와 면역 기능의 관계가 사실이라면?
    • 전염성질환, 알레르기, 자가면역질환, 암이 발병과 직접 연관
    • 심혈관질환의 발병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

5. 결론  
  • 향후 가장 중요한 연구과제 : 네트워크 구조와 사회적 지지의 결정요인을 다루는 것
  • 네트워크 구조와 기능에서 문화,인종,계급과 관련된 변이나 문제들을 이해 -> 건강증진 중재방안 마련에 도움





 ☞ 사회적 관계에 대한 척도!

- 실제로 연구할 때 어떻게 써먹을까.




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«   2024/04   »
1 2 3 4 5 6
7 8 9 10 11 12 13
14 15 16 17 18 19 20
21 22 23 24 25 26 27
28 29 30
글 보관함